2023년 계묘년에 공휴일이 총 며칠인지 알아본다. 2023년부터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가 공휴일로 지정될 수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아직 결과가 발표되지 않아 기다리는 중이다. 대체공휴일이 하루 더 추가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2023년 계묘년 공휴일은 총 며칠?
내년 2023년 계묘년은 육십 간지 중 40번째 해로, '검은 토끼의 해'이다.
2023년의 공휴일은 총 67일이다. 일요일이 52일이고 국경일과 설날 등을 더하면 16일에서 신정(1월 1일)과 설날(1월 22일)이 일요일과 겹치게 되어 2일을 빼면 66일이 되는데 설날 대체공휴일로 1월 24일(화) 1일을 더하게 되면 공휴일이 67일이 된다.
2022년 12월 21일 '2023년 경제정책방향' 합동 브리핑에서 정부가 전 국민의 휴식권 보장 차원에서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에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를 추가하겠다고 발표했다. 대체공휴일의 확대가 국민의 휴식권을 보장할 수 있으며 또한 유통과 외식, 여행업계 등 여러 분야에서 경제 활성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결과에 따라 달라지는 제도에 따른 2023년 계묘년의 대체공휴일과 공휴일에 대해 알아본다.
2023년 공휴일과 국경일
공휴일 | 날짜 / 요일 | 대체 공휴일 |
신정 | 1월 1일(일) | |
설날(연휴) | 1월 21일(토)~23일(월) | 대체공휴일 1월 24일(화) |
삼일절 | 3월 1일(수) | |
어린이날 | 5월 5일(금) | |
부처님오신날 | 5월 27일(토) | ** 대체 공휴일 (5/29.월) |
현충일 | 6월 6일(화) | |
광복절 | 8월 15일(화) | |
추석(연휴) | 9월28(목)~30일(토) | |
개천절 | 10월 3일(화) | |
한글날 | 10월 9일 (월) | |
성탄절 | 12월 25일(월) | 대체공휴일 |
계 | 일요일 52일 + 법정공휴일 14(일요일 중복 -2) + 대체공휴일 1일 =67일 +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 = 68일 |
대체공휴일이란?
대체공휴일이란 공휴일과 휴일이 겹칠 경우, 평일에 쉴 수 있도록 하여 쉬는 날이 줄어들지 않도록 보장하는 제도이다. 대체공휴일을 적용하는 휴일은 설날, 추석, 3.1절, 어린이날,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그리고 2023년부터 추가될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이다.
대체공휴일 적용되지 않는 휴일
신정(1월 1일)과 현충일(6월 6일)은 대체공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휴일이다.
공휴일이 하나도 없는 달
공휴일이 하나도 없는 달도 있다. 직장인들에게는 아쉬운 소식으로, 2월, 4월, 7월, 11월이 휴일이 없는 달이다.
공휴일이 없어 꽉 채운 2월과 4월 7월과 11월은 연차 휴가를 활용해야 하는 달이 될 거 같다. 각자 주어진 연차 휴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계획을 세워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 같다.
대체공휴일 추가될 석가탄신일과 크리스마스
부처님 오신 날과 크리스마스는 2023년의 대체공휴일로 지정될 수 있을까. 새롭게 추가될 수 있을지 아직 발표가 남아 있지만, 2023년에 추가되는 대체공휴일로 5월 27일(토) 부처님 오신 날이 공휴일로 지정이 되게 되면 2023년은 5월 29일(월) 하루 더 쉴 수 있게 된다.
업데이트: 2023.03.15.수.11:54
마치며
2023년 계묘년 공휴일이 며칠이 되는지 알아보았다. 현재는 67일이지만, 추가로 부처님 오신 날 하루가 더해지면 68일이 된다.
댓글